top of page

변성암석학

접촉 변성암
 

혼펠스

 

셰일이나 사암이 접촉변성을 받으면 치밀하고 굳은 암석으로 변한 세립질의 변성암을 말하며, 암석의 단면이 마치 쇠뿔을 부러뜨렸을 때처럼 조직이 치밀하고 꺼칠꺼칠한 모양을 나타내기 때문에 혼펠스(hornfels)라고 한다. 꼭 셰일이 변성된 것만이 아니라 조직에 방향성이 없는 변성암을 혼펠스라고 하기도 한다. 조직에 방향성이 없는 이유는 주로 온도변화에 기인하여 변성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대리암

 

석회암이나 돌로마이트가 접촉변성을 받아서 입상변정질 조직을 가진 변성암이 된 것이다. 대리암은 서로 촘촘하게 맞물려 있는 조립질의 방해석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석회암의 재결정작용을 받는 동안 층리, 화석 및 다른 퇴적암의 특징이 대부분 지워진다.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암석은 조직을 나타내는 등립질 암석이다.

 

석영편암

 

사암이나 처트가 접촉변성을 받아서 변성된 변성암이다. 특히 규암은 본래 입자 사이의 공극이 SiO2에 의하여 채워지고 전체가 재결정작용을 받아서 생성된다.재결정작용에 의하여 입자의 구조가 완전히 재배열되지만, 때로는 본래 퇴적물입자의 윤곽이 희미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

 

 

Please reload

광역 변성암
 

규암

 

사암(砂岩)·규질암(硅質岩) 등이 변성작용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 색은 백색·회색 ·홍색·적색·갈색·흑색 등을 띠며, 일반적으로 담색이다. 유리광택이 있다. 백운모·규선석·남정석·녹렴석·석묵 등의 광물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원래의 사암에 함유되었던 점토질 물질이나 석회질 물질 등이 변성도에 따라 생성된 것이다.   

편마암

 

화학성분은 화강암 또는 화강섬록암과 비슷하다. 석영 ·장석 ·운모 등 입상광물이 많아 편상구조는 뚜렷하지 않지만 줄무늬상 구조가 있다. 암석 전체의 화학조성에 따라서 석류석 ·근청석 ·규선석(硅線石) 등을 함유한다. 많은 경우, 이질(泥質) 또는 사질(砂質)의 퇴적암이 높은 온도하에서 광역변성작용(廣域變成作用)을 받은 경우에 생성되는데, 때로는 접촉변성작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도 있다.

각섬암

 

보통각섬석과 사장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암을 지칭하기 위해서 일부 학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용어의 각섬암은 암녹색이며 치밀한 암석이다. 보통각섬석·사장석 외에 석영·자철석 등을 다소 함유하는데, 때로는 흑운모 또는 녹렴석을 상당량 함유하기도 한다. 각섬암은 대부분 물이 약간 많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현무암과 거의 같은 화학조성을 가진다.

1 / 1

Please reload

bottom of page